주식

시가총액의 뜻과 순위 확인방법

1. 시가총액은 무슨 뜻인가요?

며칠 전에 겪었던 일이에요. 주식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된 분이 기업의 주가만 보고 그 기업의 가치를 매기는 것을 본적이 있어요. 그 분이 큰 실수 한 것이 주가만 보고 그 기업을 판단한 건데요.

오늘은 주가와 시가총액을 분명하게 구분해야 한다는 걸 말하고 싶어요. 그리고 왜 시가총액을 아는 것이 중요한지 마지막에 있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시길 바래요.

주가는 거래되는 가격일 뿐이에요. 반면 시가총액은 그 기업의 크기를 말해요. 시가총액이 그 기업이 시장에서 얼마만큼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지는 보여주는 것이죠.

예를 들면 A기업의 주가는 20,000원이고 B기업은 10,000원 이라고 해볼게요. 이것만 보고 “A기업이 더 비싸죠.” 라고 말하는 건 잘못된 판단이에요. 왜냐하면 시가총액은 B기업이 더 클 수 있거든요.

다시 말하지만 주가는 기업의 진짜 가격이 아니고 단지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일 뿐이에요

2.시가총액 확인 방법은?

그렇다면 현재의 시가총액을 알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시가총액은 주가에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를 곱해주면 돼요. 간단하죠?

시가총액 = 기업의 총 주식 수 *현재 주가

우리나라 시가총액 1등 기업 삼성전자를 예로 들어 볼게요.

현재 주가 81,800원 * 상장 주식 수 5,969,782,550 = 시가총액 488조 3,282억원

제가 글을 쓰는 지금 삼성전자 시가총액(줄여서 ‘시총’이라고 많이 불러요)는 488조 3,282억원이네요.

3.시가총액 순위 확인 방법은?

HDS 또는 MDS를 통해 확인해도 되지만 네이버를 통해 보는 법이 더 간단한데요.

국내 기업의 경우에는 네이버 증권에 들어가서 국내증시 선택 후 시가총액 선택하면 시가총액이 큰 순서대로 쫙 줄 세워 보여준답니다.

4.시가총액이 중요한 이유는?

이제 제가 가장 하고 싶었던 이야기예요. 그렇다면 왜 시가총액을 보는 것이 중요할까요? 바로 시가총액을 보면 그 기업이 다른 경쟁사에 비해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에요. 저평가인지, 고평가인지 확인이 가능한 것이죠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